[코드스테이츠 PMB 9기] W5D1 Melon 멜론과 그로스 마케팅
음악이 필요한 순간
Melon 멜론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를 통해, 해당 서비스에 어떤 그로스 마케팅 전략이 적용되었는지 생각해봅시다. (에세이)
1. 평소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혹은 급성장한 스타트업의 서비스) 1가지를 선정합니다
2. 해당 서비스에서 '그로스 해킹'이 적용되었다고 생각한 마케팅 전략(랜딩 페이지, 이벤트, 프로모션 등)이 무엇인지 설명해봅시다
3. '그로스 해킹'이 적용된 마케팅 전략의 사례가 없다면, 어떤 방식으로 그로스 해킹을 적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봅시다.
ex) 추천인, 랜딩 페이지 UX개선 등
Growth Hacking 그로스 해킹
데이터 분석가와 퍼포먼스 마케터는 제품에 유입된 고객의 행동을 추적하고, 데이터로 남긴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데이터,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략을 설정하는 마케팅을 그로스 해킹 또는 그로스 마케팅이라고 부른다. 그로스 해킹 또는 그로스 마케팅은 고객의 취향을 파악하고, 더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접근해 저비용으로 최고의 광고 효용을 추구하는 마케팅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그로스 해킹의 대표적인 정의는 이렇지만, 꼭 마케팅에서만 사용되는 개념은 아니다. 그로스 해킹은 어떤 문제를 발견해 그 포인트를 시작으로 성장시켜 나가는 모든 것에 접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출처 코드스테이츠 PMB 교육자료)
Melon 멜론
헤어지지 못하는 멜론, 떠나가지 못하는 사용자
애플뮤직, 유튜브뮤직, 스포티파이, 플로, 지니뮤직 등 최근 들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한국에서 점점 다양해지고 있음을 느낀다. 하지만 나는 음악을 스트리밍한 처음부터 멜론 구독을 해지해본 적이 없다. 애플 기기만 쓰기 때문에 중간에 애플뮤직 3개월 무료 체험을 해보긴 했지만, 국내 음악을 선호하고 특히 인디밴드 음악을 좋아하는 나로서는 해외 서비스로 갈아타는 게 바람직하지 않은 선택이었다.
지난 한 달 동안은 멜론이라는 프로덕트를 분석해 볼 생각을 못하고 있었는데, 오늘 그로스 해킹과 그로스 마케팅에 대한 개념을 공부하면서 '이탈자를 막기 위한 마케팅'을 생각하는 순간 바로 멜론이 가장 먼저 떠올랐다. 나는 오늘을 위해 멜론을 아껴왔구나. 각설하고, 나는 멜론의 충성고객으로서 멜론의 여러 가지 잡음에도 불구하고 멜론을 떠나지 못한 이유 혹은 변명을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멜론의 그로스 마케팅
나도 물론 멜론을 떠나고 싶은 적이 종종 있었다. 갈수록 오르는 서비스 구독료 때문이다. 멜론을 이용하게 된 시작점은 아마도 내가 SKT 통신사를 사용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내가 멜론 정기결제를 시작할 때만 해도, 멜론은 SKT와의 제휴를 통해 T멤버십 포인트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정기결제 구독료를 30% 정도 할인했었다. 차감 횟수에는 제한이 없었고, SKT 사용자로서는 멜론을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SKT, '멜론' 멤버십 할인혜택 없앤다…자사 플랫폼 '플로' 띄우기?
SKT, '멜론' 멤버십 할인혜택 없앤다…자사 플랫폼 '플로' 띄우기?, 2월말 멜론 T멤버십 할인 혜택 종료 점유율 1위 멜론, 점유율 변화 있을지 주목
www.hankyung.com
하지만 지난 2019년 3월, SKT가 자사 음악 플랫폼인 Flo를 본격적으로 밀기 시작함과 동시에 멜론에서의 T멤버십 할인 혜택이 종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멜론을 떠나지 않았다. 그 이유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멜론 정기결제 회원 전용 카카오톡 이모티콘 무료 선물
2016년, 멜론 VIP였던 나의 눈을 뜨이게 하는 소식이 있었다. 바로 3개월마다 카카오톡의 새로운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을 100일 동안 무료로 사용하는 이용권을 준다는 소식이었다. 멜론 앱을 켜자마자 팝업으로 뜨는 행사여서 놓칠 수 없는 이벤트였고, 3개월 내내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전에 받은 이모티콘의 기한이 만료되면 바로 멜론으로 달려가서 새로운 이모티콘을 다운받곤 했다. 나는 카톡을 많이 하는 편이 아니라고 생각해서, 이모티콘을 매번 돈 주고 결제하는 게 조금 아깝다고 느꼈다. 하지만 '공짜로 주신다니, 감사합니다'의 마음가짐이었다. (사실 알고보면 공짜는 아니었다. 세상에 공짜는 없는 법.) 이모티콘을 받기 위해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추가하는 과정이 조금 복잡하긴 했지만, 무료니까(^^) 그 과정을 감수하면서 몇 년 동안 열심히 멜론 회원 전용 이모티콘을 사용했던 것 같다. 멜론 홈페이지를 살펴보니, 해당 행사는 작년 12월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정보가 많이 없고, 사용자 흐름을 상세히 담을 수 없던 점 양해 부착한다. 그래도 어쨌든, 이러한 멜론의 행보가 멜론 충성고객이나 정기결제 고객들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그로스 마케팅의 사례로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정기구독 해지 버튼을 누르는 회원에게 파격적인 할인 프로모션 제공
멜론은 이탈을 막기 위한 파격적인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걸로 유명하다. 오죽하면 블로거들이 편법으로 해지 버튼을 눌러서 할인받는 방법을 공유하겠는가. 실제로 나는 언젠가 한동안 음악을 잘 듣지 않아서 멜론 정기결제 구독을 해지하려다가, 3개월 무료 연장이 가능하다는 페이지를 보고 해지를 보류했던 전적이 있기 때문에, 정말 멜론이 그로스 마케팅을 잘 활용했다고 생각한다. 실제 '해지신청 이용권'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용권을 사용하는 사용자 흐름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자.
이러한 사용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그로스 해킹 또는 그로스 마케팅을 통해 멜론은 사용자 이탈을 효과적으로 막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록 이를 악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을 지라도, 이 프로모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는 모두 '이용권이 비싸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의 수'를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멜론의 이러한 그로스 마케팅은 이탈율을 그로스 해킹하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한다.
멜론 그로스 마케팅 제안하기
인스타그램 스토리 음악 공유 링크 활성화
나는 좋은 것들을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것을 좋아하고, 내가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음악을 자랑하고 싶고, 취향이 맞는 사람들을 알고 싶다느는 이유로 멜론에서 현재 재생 중인 곡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공유하는 기능을 자주 사용한다. 말로만 해서는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내가 경험한 사용자 플로우를 캡쳐하여 이미지로 담아보았다.
가장 왼쪽에 있는 멜론에서 현재 재생 중인 곡의 화면 오른쪽 하단에 인스타그램 아이콘이 보인다. 그 아이콘을 누르면 가운데 사진처럼,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작성하는 페이지가 뜨게 되고, 하단에 있는 버튼을 눌러 인스타그램 스토리 게시물을 손쉽게 올릴 수 있는 기능이다. 하지만, 음악이 자동으로 재생된다거나 첨부할 수는 없다. 현재로서는 앨범 아트, 아티스트명, 곡 제목을 공유하는 정도로만 사용할 수 있다. 심지어 멜론으로 통하는 링크도 따로 없다. 음악은 저작권 문제 때문에 곤란하더라도, 바로 연결할 수 있는 링크를 첨부할 수는 없을까? 이것이 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넷플릭스는 보여주고 있다.
넷플릭스 작품 정보에서 공유 버튼을 클릭하고, 인스타그램 아이콘을 클릭하고, 인스타그램 스토리 게시물 업로드 페이지로 넘어오면 하단 스토리 공유 버튼을 통해 게시물을 올리는 과정까지는 멜론 공유와 별반 차이가 없어보인다. 하지만 차이는 다음 과정에 있다.
보다시피 멜론을 공유한 스토리 게시물에선 볼 수 없었던 'Netflix에서 보기 >'라는 버튼이 보이고, 이를 클릭하면 해당 화면이 어두워지면서 'Neflix 열기'와 '취소' 버튼이 뜬다. 'Neflix 열기'를 클릭하면, 넷플릭스 앱이 기기에 다운로드 되어있는 사람에 한하여 넷플릭스 앱이 자동으로 열리면서 스토리 게시자가 공유한 해당 작품의 정보 화면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넷플릭스가 인스타그램과의 파트너십을 잘 형성하여 얻어낸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인스타그램 스토리의 특성상, 게시물을 여러 방법으로 꾸밀 수 있는데, 이렇게 꾸미거나 홍보된 게시물을 보고 해당 작품에 관심이 생긴 사람들은 기꺼이 'Netflix에서 보기 >'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사용자 유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과정을 멜론 음악 공유 과정에 적용한 프로토타입을 살펴보도록 하자.
넷플릭스 작품 공유를 레퍼런스로 하여, 멜론 음악을 공유한 인스타그램 스토리 게시물 상단에도 'Melon에서 음악 재생하기'라는 버튼을 추가해보았다. 이를 클릭하면, 'Melon 열기'와 '취소' 버튼이 나오고, 'Melon 열기' 버튼을 클릭하면, 게시자가 공유한 해당 음악이 자동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사용자 흐름을 구성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보았다. 과연 멜론이 이 정도로 유기성을 갖춘 공유 방식을 몰라서 실행하지 않았다고 예상하지는 않지만, 해당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로서 꼭 이 기능이 추가되었으면 좋겠다! 이상!
참고자료
SKT, '멜론' 멤버십 할인혜택 없앤다…자사 플랫폼 '플로' 띄우기?
SKT, '멜론' 멤버십 할인혜택 없앤다…자사 플랫폼 '플로' 띄우기?, 2월말 멜론 T멤버십 할인 혜택 종료 점유율 1위 멜론, 점유율 변화 있을지 주목
www.hankyung.com
‘플로' 키우는 SKT…멜론 제휴 할인 종료
SK텔레콤과 음원 서비스 '멜론'의 오랜 인연이 2월 말로 끝을 맺는다.6일 통신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멜론과 음원 서비스 요금 할인..
it.chosun.com
SK텔레콤, 내달부터 멜론 제휴할인 중단
SK텔레콤, 내달부터 멜론 제휴할인 중단, 새 음원 서비스 '플로' 띄우기 나서
www.hankyung.com
카카오, 멜론 정기결제자에 이모티콘 제공 - 시사저널e - 온라인 저널리즘의 미래
카카오가 운영하는 음악 플랫폼 멜론 SK텔레콤 할인 혜택이 이달 중단된다. 대신 카카오는 이모티콘 제공 등 새로운 혜택을 보강했다.카카오는 정기결제 이용권을 보유한 모든 회원에게 ‘카카
www.sisajournal-e.com
멜론, 정기결제시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24종 제공
카카오(035720) 자회사 멜론이 카카오톡의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을 1년 내내 제공하는 이벤트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멜론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증정 행사. 사진/멜론 이벤트는 다운로드
www.newstomato.com
멜론, 카카오프렌즈 신상 이모티콘 ‘조이풀 데이’ 100% 증정
뮤직포털 멜론이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캠페인’ 새로운 시리즈를 공개했다. 멜론은 3개월마다 신상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을 선물하는 특급혜택을 제공 중이다.‘멜론 VIP 혜택관(http://vip.m
m.edaily.co.kr
Melon
음악이 필요한 순간, 멜론
www.melon.com
그로스 마케팅의 첫 단추! AARRR 퍼널과 개선법
마케팅과 그로스 마케팅의 차이점을 알고, 고객의 구매 퍼널을 개선해 보기 그로스 마케팅, 요즘 부쩍 많이 들리는 단어입니다. 그냥 마케팅도 버거운데 그로스 마케팅이라니, 왠지 더 어렵고
pps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