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6

[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IT 서비스 기획 프로젝트 캠프 6주차 회고 KPT

프로젝트 캠프 6주차 / 프로젝트 코스 2주차 회고 이번 주는 중간 발표와 그 발표 결과로 최종 발표까지 갈 팀이 선정되는 주였다! 결과가 궁금하다면? 포스팅을 끝까지 읽어보시길... 잠깐. 아직 KPT가 무엇인지 모른다면? 더보기를 클릭해보세요! 더보기 Keep Try - 팀원 간의 적절한 역할 분배 - 할 수 있는 만큼 하자, 욕심을 덜어내자 (근데 그거 진짜 어떻게 하는건데....) Problem - 심각한 컨디션 난조 - 로 인한 상습 지각(...) - 할 수 있는 것과 하고 싶은 것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괴리 - 다른 팀원들의 약간의 사기 저하 - 최종의 최종의 최종까지 계속되는 수정 이번 주는 사실 프로젝트 코스 1달 중 가장 중요한 주라고 볼 수 있다. 금요일에 중간 발표가 진행되고, 그 발표..

[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IT 서비스 기획 프로젝트 캠프 4주차 회고

프로젝트 캠프 4주차 / 프로젝트 코스 1주차 회고 3주간의 사전 직무교육을 마치고 드디어 이번 주,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기업 선택 시 두 가지 옵션이 있었는데 나는 '와이엠에스닷코'를 선택하여 기업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와이엠에스닷코'를 선택한 팀은 'AI가 도와주는 문해력 학습 서비스', 가칭 문달(문해력의 달인)을 기획하게 된다. 팀 배정은 희망 팀원을 최대한 반영하여 이루어졌고 나는 오프라인 수업에 참여하신 분들을 모아서 팀을 구성하게 되었다. 그 이름 하야 '기획의 달인' ! 앞으로 팀 프로젝트가 진행될 한 달 동안 주간 회고 포스팅을 작성할 예정이다! 사실 프로젝트 필수 과제이기도 하고 아카이빙도 할겸 겸사 겸사... KPT 형식으로 작성하라고 하셨는데 처음하는 방식이라서..

[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IT 서비스 기획 프로젝트 캠프 (1) 아이디에이션

2023년 11월 20일자 과제 제출 아이디에이션 1단계 : 리스트 - 상위 카테고리의 명사를 적습니다. 2단계 : 구체화 - 1단계의 명사를 최대한 구체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내용을 적습니다. 3단계 : 왜 - 2단계의 우선순위가 높은 내용을 왜 좋아하는 지/잘하는 지 이유를 적습니다. 좋아하는 것 1단계 나는 영화 감상을 좋아한다 2단계 영화를 감상함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은 점이다 3단계 왜냐하면 직간접적인 경험을 넓히는 것은 나에게 어떤 식으로든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출 [경험] 1단계 나는 음악 공연 감상을 좋아한다 2단계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노래를 그녀/그의 목소리로 직접 귀로 듣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은 점이다 3단계 왜냐하면 그로 인하..

[코드스테이츠 PMB 9기] W8D4 애자일과 관리도구 Jira

Jira의 주요 기능 중 애자일의 원칙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능이 있나요? 애자일 원칙과 연결지어 설명할 수 있는 기능을 3가지 이상 찾아 설명해 봅니다. 네. 있습니다. 가이드 페이지에서 애초에 애자일 팀을 위한 Jira의 기능들을 설명해주고 있다. 애자일의 12가지 원칙 중 3가지 원칙과 Jira의 기능을 연결해보도록 하자. 제 4원칙 함께 일하기 비즈니스 담당자와 개발자는 프로젝트 전체 기간동안 매일 함께 일해야합니다. 비즈니스 가치가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담당자가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함께 개발해야 합니다. 팀과 조직과 정보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비즈니스 담당자와 개발자 모두 함께 일할 수 있다 제 5원칙 동기부여된 팀원들로 프로젝트팀 만들기 동기가 부여된 개인들 중심으..

[코드스테이츠 PMB 9기] W8D3 카카오 이모티콘 플러스의 이해관계자는?

[코드스테이츠 9기] W8D1 내가 카카오의 PM이라면? 지금은 2020년 9월, 우리는 KAKAO의 PM입니다. 2021년 1분기 내 카카오톡 '멀티 프로필'이라는 신규 프로덕트를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멀티 프로필 프로덕트는 이미 충분한 kimmarronn.tistory.com W8D1 과제에서 작성했던 유저스토리와, 백로그 내용에 이어서 작성해보세요.User Story는 고객 중심으로 작성하셨을텐데요. 고객이 아닌 다른 이해관계자(Stakeholders)가 누가 있을까요? 잠재 고객, 이탈 고객 등으로 고객을 더 구분할 수도 있고 팀원, 투자자, CEO 등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생각해봅니다. 그들은 어떤 니즈를 가지고 있을까요? 1. 작성한 User Story의 이해 관계자는..

[코드스테이츠 PMB 9기] W8D2 스크럼 가이드 읽어보기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오너는 스크럼 팀의 결과물인 프로덕트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책임을 갖는다. 프로덕트 오너는 프로덕트 백로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에도 책임이 있다 1) 프로덕트 목표를 세우고 명쾌하게 소통기 2) 프로덕트 백로그 아이템을 생성하고 분명하게 소통하기 3) 프로덕트 백로그 아이템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기 4) 프로덕트 백로그를 반드시 투명하고 가시적이며 이해가 잘 되도록 만들기 프로덕트 오너는 이러한 일을 직접 하거나 혹은 다른 사람들에게 역할을 배분하지만 어떤 식으로 하든지 최종 책임은 프로덕트 오너가 갖는다. 프로덕트 오너가 성공적으로 일을 하기 위해서는 조직 전체가 반드시 그의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 프로덕트 오너가 내린 결정들은 프로덕트 백로그의 내용과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

[코드스테이츠 PMB 9기] W8D1 내가 카카오의 PM이라면?

지금은 2020년 9월, 우리는 KAKAO의 PM입니다. 2021년 1분기 내 카카오톡 '멀티 프로필'이라는 신규 프로덕트를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멀티 프로필 프로덕트는 이미 충분한 논의를 통해 요구사항이 정의되어 있으며, 2021년의 가장 큰 프로덕트 릴리즈이므로 워터폴(Waterfall) 개발 프로세스로 개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서비스 참고 : Kakao 고객 센터>멀티 프로필 멀티 프로필 프로덕트를 릴리즈 한 후 ‘어떠한’ 문제점이 발견됩니다. (어떠한 문제점은 사용자 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상상해서 작성합니다) 다음 버젼 업데이트에 반영할 1개 이상의 개선안에 대한 사용자 스토리, 백로그를 작성합니다. 사용자 스토리와 백로그는 최대한 상세하게 작성합니다. (꼭 ..

[코드스테이츠 PMB 9기] W7D4는 W6D1 회고하기

글로벌 온라인 음악 유통 플랫폼 Soundcloud 사운드클라우드 오늘 강의를 바탕으로 본인이 선택한 프로덕트에서 유저가 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Flow Chart를 간단하게 만들어 봅시다. 오늘 강의를 바탕으로 본인이 선택한 프로덕트의 UI, 클라이언트, 서버, DB가 각각 어떻게 보이고 작동할지 예상하여 적어 봅시다. 더보기 Soundcloud 사운드클라우드 오늘의 프로덕트를 정하기 위해 내 휴대폰의 메인 화면에 있는 앱들을 살펴보았다. 비교적 플로우가 간단한 프로덕트를 정하고 싶었고, 주황색 아이콘이 눈에 띄였다. 바로 사운드클라우드다. 사운드클라우드(영어: Soundcloud)는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구상되고 독일 베를린에 본사를 둔 글로벌 온라인 음악 유통 플랫폼이다. 플리커, 유튜브, 비메오..

카테고리 없음 2022.03.21

[코드스테이츠 PMB 9기] W7D3 여성가족부 정책 뉴스 조회 API

공공데이터 포털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11956호)』에 따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Datase www.data.go.kr 공공데이터 포털이라는 홈페이지에서 다양한 오픈 API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데이터란 공공기관이 만들어내는 모든 자료나 정보, 국민 모두의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내는 공적인 정보를 말합니다. 각 공공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 목록과 국민에게 개방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를 포털에 등록하면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양질의 공공데이터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2022년 3월 21일 기준에 의하면 오픈 API는 9,037건에 달한다고 한다. 나는 여성가족부의 정책을 담은 뉴스를 조회하는..

카테고리 없음 2022.03.21

[코드스테이츠 PMB 9기] W7D2 앱의 4가지 형태

앱의 4가지 형태에 대해 구글 및 타 검색 엔진에서 검색해 보고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해 정리해 봅니다. 특징 장점 단점 모바일 웹 - PC에서 보는 웹을 모바일에서 볼 수 있도록 사이즈를 변경한 웹사이트 - 웹 페이지 기반 서비스 - 웹 브라우저에서 동ㅇ작 - 모바일 홈페이지 - 안드로이드나 iOS 등 OS에 상관없이 제작이 가능함 - "풀브라우징" 방식이어서 로딩 속도가 늦음 - 서버 접속 장애가 발생될 수 있어서 불안정함 웹 앱 - 모바일 웹보다 모바일에 최적화되어 네이티브 앱화된 것 - 네이티브 앱에 비해 간단함 - 단일 페이지 모델을 사용하기 때문에 빠른 실행 속도 유지 - 기간이 적게 걸림 - 비용이 저렴한 편 하이브리드 앱 - 외부 형태는 네이티브 앱의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기능..

카테고리 없음 2022.03.21